HCI(UX) 2019 NEW TRENDS SEMINAR
브랜드 디자인 커뮤니케이션 톸ㅋㅋㅋ
2019. 08. 29 [THU] 13:00 ~ 17:30
서울대학교 미술관 오디토리엄 1F
[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of Art Auditorium 1F ]
"많은 분들의 호응과 성원으로 조기 마감됨을 감사드립니다. 행사장 여건 상 더 많은 분들을 모시지 못한점 송구하게 생각합니다. 조만간 더 좋은 행사로 찾아 뵙도록 하겠습니다. 참여 해주신 모든 분뜰께 다시한번 머리숙여 감사드립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브랜드 발전의 가장 큰 요건은 브랜드에 대한 관심과 매력도입니다. 특히 인간과 제품을 이어주는 브랜드의 역할이 중요해졌습니다. 브랜드를 매력적으로 느끼게 하기 위한 조건에 대해 필립 코틀러는 “고객이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상호작용에서 인간적인 상호작용, 즉 인간중심의 브랜드가 중요한 요건”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우리에게는 단순히 시대가 요구하는 것, 인간의 생활을 편리하고 풍요롭게 하는 것, 데이터들이 주장하는 것을 넘어서 이제 시대가 추구해야 할 것, 인간이 잃어서는 안될 본질적인 것, 데이터로 표현될 수 없는 것들에 대한 문제를 고민해야 합니다. 모든 것이 변한다고 해도 결코 변하지 않을 본질적 가치는 바로 이런 고민에서 나오기 때문입니다.
이에 국내 브랜딩과 디자인의 전문가들을 모시고 세미나를 개최 합니다. HCI 트렌드 세미나 그 두번쨰 시간으로 디자이너가 들어야 할 브랜딩 이야기와 기획, 마케터들이 알아야 할 디자인에 관한 주제로 진행 됩니다. 특히 렘 콜하스가 설계해서 유명한 서울대 미술관에서 개최합니다. 넉넉하고 여유로운 공간에서 세미나를 만끽 하시기 바랍니다. 세션 발표와 강연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진행하는 자유토크로 진행하는 이번 세미나에 관심있는 실무자와 관련 전공 학생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세미나 개요
-
기간
2019년 08월 29일 (목요일) 13:00 ~ 17:30
-
대상
1) 브랜드 전문가, 그래픽 디자인, 웹 디자인, UI디자인, UX디자인의 실무 담당자 2) 미래지향적인 브랜드 디자인을 위해 새로운 비전과 모티브를 얻고자 하는 분들
-
인원
약 180명
-
장소
서울대 미술관 오디토리엄 1층
-
주최/주관
HCI학회 / 레오닷(LeoDot)
-
후원
모트모트(motemote) / 하이트진로_TERRA / 두성종이(doosungpaper) / CNCC
-
목적
국내 브랜딩과 디자인 전문가의 브랜드 전략과 최신 디자인 프로젝트 사례를 통해 실무와 관련된 단초를 얻자
PROGRAM(강연자 조정에 따라 순서는 변동 될 수 있습니다)
-
등록 ( 12:30 - 13:00 )
참가등록, 미술관 산책
-
1 SESSION ( 13:00 - 13:30 )
분수같은 브랜드, 폭포같은 브랜드 _ 서울대학교 _ 김경선 교수
-
2 SESSION ( 13:30 - 14:10 )
Platform Branding _ 카카오브랜드센터 _ 최경국 부사장
-
3 SESSION ( 14:20 - 15:00 )
진단(Thought)과 처방(Form) _ 디자인스튜디오 fnt _ 이재민 디자이너
-
BREAK ( 15:00 - 15:30 )
Coffee Break
-
4 SESSION ( 15:30 - 16:10 )
생존브랜딩, 살아내는 창의노동~ _ 우아한형제들 _ 한명수 CCO
-
Talk ( 16:20 - 17:30 )
자유토크 _ 브랜드 & 디자인 그리고… 강연자 + 스.토.커 : 임선아, 명윤경
-
폐회 ( 17:30 )
폐회
-
Party ( 18:00 ~ )
Beer Party 희망자에 한해(현장 공지 예정)
-
- 강연이나 토크 시간 중에 스.토.커. 두 분의 활약이 이어집니다
- 강의 시간 및 주제는 강사분들과 협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자유토크는 강연자 네 분이 브랜딩과 디자인에 관해 자유로운 토크로 진행 될 예정입니다.
- Beer Party는 행사장 2층 렉쳐홀에서 진행 될 예정입니다.(참가비 1만원, 수익금은 CNCC에 기부합니다)
SPEAKER
-
Seoul talker 김경선 서울대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교수
서울에서 자랐고, 건국대학교에서 그래픽디자인을 공부하고 제일기획에서는 전단지부터 브랜드 아이덴티티까지의 다양한 디자인 작업을 하였고, 이후 런던의 센트럴 세인트 마틴즈에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을 공부하였다. ’거리의 간판을 통해 도시 읽기’ 에 대한 논문을 쓰고 시각적으로 재해석하는 작업을 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도시에서 발견되는 텍스트와 이미지의 의미를 즐기게 되었다. 이후 홍디자인에서 다양한 기업 프로젝트와 문화행사 관련 디자인을 했다.
그래픽 디자인 클럽 진달래의 동인이며 2006년 [진달래 도큐먼트 02: visual poetry 視集 금강산]전시를 기획하였으며, 2015년 ‘도시(CITY)’와 타이포그래피:C( )T( )’를 주제로 한 ‘타이포잔치2015: 4회국제 타이포그래피 비엔날레’ 총감독을 맡았다. 올해 5월엔 [그래픽 디자인 아시아 2019: 가까운 곳에서] 행사를 공동기획했고, 현재 서울대학교에서 시각디자인을 가르치고 있다. 서울에 산다.분수같은 브랜드, 폭포같은 브랜드
-
kakao talker 최경국 카카오브랜드센터 부사장
성균관대학교에서 시각 디자인을 공부하고 FID에서 수석 디자이너로 일했다. 이후 NHN에서 네이버 전략 디자인을, SK커뮤니케이션즈에서는 싸이월드와 네이트의 브랜딩을 맡으며 BX 랩을 리드했다. CJ그룹에서 신사업 개발과 신규 브랜드 론칭 등을 이끌었고, JOH 컴퍼니의 브랜드 컨설팅 이사로 트라이바, 디뮤지엄 등 다양한 범위의 브랜드 컨설팅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2017년 2월부터 카카오 브랜드센터 부사장을 맡아 카카오와 카카오 공동체의 미래를 고민하고 실체화하고 있다.카카오 브랜드 스토리
-
graphic talker 이재민 디자인 스튜디오 FNT 디자이너
그래픽 디자이너. 서울대학교에서 시각디자인을 공부했고, 2006년 설립한 그래픽 디자인 스튜디오 fnt를 기반으로 동료들과 함께 인쇄 매체와 아이덴티티 등 다양한 분야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국내외 다양한 전시에 참여했으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국립극장, 서울레코드페어 조직위원회 등의 클라이언트와 함께 문화 행사와 공연을 위한 작업을 진행해왔다. 2011년부터는 정림문화재단과 더불어 건축, 문화, 예술 사이에서 교육, 포럼, 전시, 리서치 등을 아우르는 프로젝트를 통해 건축의 사회적 역할과 도시, 주거 문제를 고민하고 있다. 서울시립대학교에서 가르치며, 2016년부터는 AGI(Alliance Graphique Internationale)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디자이너가 바라보는 브랜드(가제)
-
bright talker 한명수 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
CCO(크리에이티브디렉터. 상무)
창의노동집단 관리자이며 디자이너이다. UX, 브랜딩, 인터랙션 등 커뮤니케이션 전반의 모든 디자이닝을 하는 직장인. 을병정 에이전시 여러군데서 갑님을 섬기다가 관료제시스템에 들어가 싸이월드, 네이트, T맵, T스토어를 만들다가 현재는 배달의민족 서비스와 브랜딩과 조직문화를 섬긴다. 작은 디자인회사부터 대기업, 그리고 스타트업 조직을 거치며 재미지게 일하는 방식을 탐구한다.
홍익대학교와 동대학원에서 디자인 공부했고 지금은 최첨단찌라시와 때수건, FOOD Tech 디자인 일하고 월급받는다.생존브랜딩, 살아내는 창의노동 (부제 : 배달의민족 이야기)
-
스토커1_명윤경 경희대학교 겸임교수
갓 스무살이 되던 해에 태어나고 자란 서울을 떠나 미국의 보스턴에 위치한 Massachusetts College of Art & Design에 입학하며 디자인에 정식으로 처음 입문하게 되었다. 그 후 보스턴과 서울에서 디자이너로 일하며 경험을 쌓고 브랜드 디자인에 대해 더 깊이 공부하기 위해 다시 서울을 떠나게 된다. 영국의 London College of Communication에서 리서치를 하며 대중을 향한 기만, 그중에서도 언론의 기만행위 및 편향보도 등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런던의 언론을 항상 견제하고 또 격려하는 가상의 출판사 브랜드 “Frankly,”를 설립하기 위한 리서치 과정과 결과물을 졸업 논문으로 담아 학과 내에서 가장 훌륭한 성적으로 석사학위를 수여하게 된다. 다시 한국으로 돌아와 서울대학교 디자인학부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고, 경희대학교, 서울예술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대학에서 겸임교원 및 시간강사로 재직하며 후배 디자이너들을 만나고 있다.stalker
-
스토커2_임선아 디자인 스튜디오 구르메그라프 디자이너
브랜드를 다루는 그래픽 디자이너. 서울대학교에서 시각디자인을 전공했고 이후 대기업에서 브랜드를 관리하는 일을 했다. 서울대학교에서 석사과정을 거쳐 박사과정을 수료했으며 동료와 2인 디자인 스튜디오를 운영하는 중이다. 조형언어에 관한 관심이 많고, 브랜드가 다양한 매체 안에서 자신의 능력을 확장시킬 수 있는 여러 가능성을 연구하고 있다. 서울대학교에서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가르친다.stalker
참가신청 안내
-
참가신청 안내
참가신청에 등록한 핸드폰 번호로 세미나 입장권 바코드를 문자로 보내드립니다. 참가신청에 등록한 이메일 주소로 등록확인증을 보내드립니다. 단체 참가신청 할 경우 아래 +버튼을 클릭합니다. 카드결제 에러, 단체 신청한 경우 참석확인증을 회사 담당자 이메일로 받고 싶은 회사는 장세웅 실장
(T.070-4035-8672)에게 문의주시거나 담당자 e-mail(hci@hcikorea.org)로 신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단체 신청할 경우 결제 담당자 핸드폰 번호와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지 마시고 참석자 핸드폰 번호와 이메일 주소를
입력해 주셔야 입장권과 세미나 관련자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참가신청 절차
-
사전 결제 안내
좌석이 한정되어 (150명) 조기마감이 될 수 있으니 가급적 사전등록기간에 등록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결제 안내
-
교육비
사전등록 : 100,000원 (다과포함) 현장등록 : 120,000원 (다과포함)
무통장입금 : 우리은행 1005-701-004633 (예금주 : 사단법인한국에이치씨아이학회) -
참가신청방법
이벤트를 통해 강연자 추천도서 증정 1) 인터넷신청 (http://conference.hcikorea.org/HCI2019_08NT2/main.asp) 2) 전화문의(장세웅 실장 : T. 070-4035-8692)
-
세미나 참가
주의사항1) 본 세미나의 참가비 환불 규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세미나 개최 2일전부터는 환불이 되지 않습니다. 세미나 참가비 결제 완료 후, 본인의 사정에 의해서 당일 불참한 경우에 세미나 참가비는 환불되지 않습니다. 1인 이상의 인원(단체)이 세미나 참가 결제를 한 경우, 그 중 일부에 대해서 부분 환불되지 않습니다. 2) 카드결제시에는 별도의 계산서를 발행하지 않습니다.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관련법규에 따라 세금계산서 발행이 불가능합니다] 3) 결제확인 및 추후 결제 문의는 레오닷으로 연락바랍니다.(070-4035-8692) 카드결재 진행 시 오류가 나시는 경우 KCP기술팀(T.1544-8661)으로 연락하셔서
원격지원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회사 방화벽, 카드사 에러 등의 문제로 인해
안되는 경우가 있으니, 기술팀에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4) 계산서는 무통장 입금 시에만 발행 가능하며, 발행일은 세미나참가비 입금 날짜로 작성됩니다.
※ 계산서는 면세계산서로 발급됩니다.
※ 무통장 입금하신 분 중 계산서가 필요하신 경우, 사업자등록증 사본,
계산서 담당자 이름, 계산서 담당자 이메일 주소와 함께 아래에 있는 팩스 또는
이메일 주소로 보내 주시면 계산서를 발급해 드립니다.
(Fax : 02- 6280-2604 / e-mail : hci@hcikorea.org) 5) 결제, 참가 문의 : 장세웅 실장(T.070-4035-8692) 6) 일부 강좌에 한하여 강사 혹은 기업 요청으로 인쇄 자료나 동영상 자료 배포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7) 본 행사장은 외부차량의 주차 지원이 가능합니다. 서울대학교미술관 주차비 : 최초 30분 1,500원 / 10분 당 500원(1시간 당 3,000원) 행사당일 29일에는 서울대학교 졸업식이 있어 주차비는 당일 무료 입니다. ※ 졸업식 때문에 차량 혼잡이 예상 되오니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결제 비용
- 주최/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