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note Speech

  • John-Zimmerman

    John Zimmerman

    Professor, Human-Computer Interaction Institute - The School of Design - Carnegie Mellon University

    발표일시 : 2025년 2월11일(화) 11:00 ~ 12:00_강연자의 사정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Abstract :


    You may have noticed that there’s a lot of hype, hope, and fear surrounding AI. AI’s amazing impact implies an effective innovation process. The reality is that today, almost all AI initiatives fail, often due to poor ideation and a lack of HCI. In this talk, I will discuss why projects fail, why human-centered design methods don’t work well, and how innovation teams might work differently to discover low-risk, high-value opportunities for new AI products and services. The emergence of AI as a new technical force raises many new questions about what it means to “do” HCI.

    AI를 둘러싼 과대 광고, 희망, 두려움이 많다는 것을 알고 계실 것입니다. AI의 놀라운 영향력은 효과적인 혁신 프로세스를 의미합니다. 현실은 오늘날 거의 모든 AI 이니셔티브가 실패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잘못된 아이디어와 HCI의 부족으로 인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 강연에서는 프로젝트가 실패하는 이유, 인간 중심의 설계 방법이 잘 작동하지 않는 이유, 새로운 AI 제품 및 서비스를 위한 저위험 고가치 기회를 발견하기 위해 혁신 팀이 어떻게 다르게 일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할 것입니다. 새로운 기술력으로 부상한 AI의 등장은 HCI를 '수행'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많은 새로운 질문을 제기합니다.


    Bio :

    John Zimmerman is the Tang Family Professor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Computer Interaction at Carnegie Mellon University. He’s a user experience and service designer who researches human-AI interaction, human-robot/agent interaction, and AI innovation processes. He’s been designing novel, intelligent systems for more than 25 years, ranging from one of the first TV show recommenders to real-time transit arrival systems to decision-support tools for implanting mechanical hearts to a system that keeps parents from forgetting to pick up their children. He’s published more than 200 papers and is a member of the ACM CHI Academy. He teaches UX design, service design, lean startup, and how to design AI products and services. While working for Philips early in his career, he invented how everyone scrolls on their smartphones.

    존 짐머맨은 카네기멜론대학교의 인공지능 및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분야의 탕 패밀리 교수입니다. 그는 인간과 인공지능의 상호작용, 인간과 로봇/에이전트의 상호작용, 인공지능 혁신 프로세스를 연구하는 사용자 경험 및 서비스 디자이너입니다. 그는 최초의 TV 프로그램 추천 프로그램부터 실시간 대중교통 도착 시스템, 기계 심장을 이식하는 의사 결정 지원 도구, 부모가 자녀를 데리러 오는 것을 잊지 않도록 하는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25년 이상 새롭고 지능적인 시스템을 설계해 왔습니다. 20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ACM CHI 아카데미의 회원입니다. 그는 UX 디자인, 서비스 디자인, 린 스타트업, AI 제품 및 서비스 디자인 방법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경력 초기에 필립스에서 일하면서 모든 사람이 스마트폰에서 스크롤하는 방식을 발명했습니다.

    • 이철배

      LG전자 CX센터장(부사장)

      발표일시 : 2025년 2월10일(월) 15:00 ~ 16:00

      기업특별세션 :


      인간과 삶에 대한 통찰을 기반으로 한 경험혁신 - 인류학, 데이터, AI 등 학제적 방법론 사례연구

      [Research Deep Dive]
      인간•삶•사회 변화 이해를 위한 심층 연구

      [Data-driven Insight]
      Thick Data 기반 고객/시장 분석 시스템 활용 사례

      [Glimpse of Unseen Future]
      미래 프로토타이핑을 통한 고객경험 예측 방법




      이철배 LG전자 CX센터장(부사장) Bio :

      LG전자 LSR/UX연구소장, 뉴비즈니스센터장, 디자인경영센터장 등을 역임하며 고객의 편의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한 LG 퓨리케어 360˚ 공기청정기, 신가전 트렌드를 선도하는 식물재매기 LG 틔운과 수제맥주제조기 LG 홈브루, 다변하고 세분화되는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마음대로 색상을 바꿀 수 있는 LG 디오스 오브제컬렉션 무드업 등의 출시를 이끌었다. LG전자의 핵심 가치인 고객경험에 기반한 고객 경험 및 디자인 트렌드를 발굴하고, 정체성을 확보하여 경쟁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ACADEMIC BACKGROUND

      핀란드 알토대학교 MBA
      KAIST 산업디자인학과 학사/석사
      대전 과학고등학교

      WORK EXPERIENCE

      LG전자 CX센터장 / 부사장
      LG전자 디자인경영센터장 / 전무
      LG전자 뉴비즈니스센터장 / 전무
      LG전자 LSR/UX연구소장 / 전무
      LG전자 디자인경영센터 MC디자인연구소장 / 상무
      LG전자 디자인경영전략팀장/상무
      LG전자 디자인경영센터 북미디자인분소장
      LG Electronics

      • 사공경

        상무/CX팀장 (삼성SDS CX팀)

        발표일시 : 2025년 2월12일(수) 11:00 ~ 12:00

        기업특별세션 :


        ① Brity Copilot 에서 Agent 까지! - 사공경 상무/CX팀장 (삼성SDS CX팀)
        ② OPUS-X - SDS의 표준 디자인 시스템 - 배혜진 프로 (삼성SDS CX팀)
        ③ FabriX가 고객을 만나면? - 정이선 프로 (삼성SDS CX팀)

        [주제]
        "통합경험 혁신으로 미래를 창조하다."  Shaping the Future through Total Experience Innovation

        [키노트 내용 요약]

        삼성SDS는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와 함께 통합경험(TX)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혁신적인 솔루션을 통해 고객의 비즈니스 성공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번 키노트에서는 삼성SDS의 통합경험 디자인 전략과 그 성과를 세 가지 핵심 영역에서 조명합니다.

        ① Brity Copilot에서 Agent까지: AI 협업의 새로운 지평

        Brity Copilot, AI 협업자에서 Personal Agent로 진화합니다. Personal Agent는 "나보다 나를 더 잘 아는 AI 업무 비서"로, 나의 업무를 먼저 파악하고, 최적안을 제안하고, 나아가 선제적으로 대응해줄 수 있는 개인 비서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직관적인 상호작용 방식, 협업의 흐름에서 매끄럽게 녹아든 워크플로우를 통해 기업의 업무 생산성과 협업 효율성을 향상시킵니다.

        ② OPUS-X: 빠른 변화에 민첩한 대응이 가능한 표준 디자인 시스템

        OPUS-X 표준 디자인 시스템은 삼성SDS의 고유한 디자인 철학을 반영하여 대규모 디자인 조직의 업무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이는 디자인-개발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며, 최신 기술 트렌드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③ FabriX: 고객 성공을 지원하는 생성형 AI 서비스 플랫폼

        FabriX 생성형 AI 서비스 플랫폼은 고객사의 지식자산과 결합하여 업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B2B 전용 AI 플랫폼을 디자인했습니다.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 설계를 통해  다양한 도메인의 기업사용자를 위한 경험 최적화에 초점을 맞춰 새로운경험을 제공합니다. 고객 여정기반의 다양한 컨설팅 활동을 통해 선제적으로 대응했던 성공적인 사례를 소개합니다. 

        앞으로도 삼성SDS는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고객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고, 비즈니스 성공을 위한 최적의 통합경험을 제공할 것입니다.


        Bio : 사공경, 삼성 SDS CX팀장/상무


        Professional Summary
        삼성 SDS의 글로벌 B2B 고객 경험 전략을 이끄는 CX 총괄 리더로서, 대표 업무 협업 플랫폼인 Brity의 CX개편을 주도하며 차별화된 임직원 경험(EX)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또한, 생성형 AI 서비스인 FabriX와 Brity Copilot의 CX디자인을 총괄하며, 다양한 업종의 고객사를 대상으로 통합 경험 혁신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폭넓은 글로벌 경험과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고객 중심의 가치 창출과 비즈니스 성장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Work Experience
        - 삼성 SDS 개발센터 CX팀장
        - 삼성 SDS 개발센터 CX SaaS 그룹장
        - 미국 실리콘밸리 SAP Senior Director
        - 미국 실리콘 밸리 Harman Lead Designer
        - LG전자 디자인경영센터 선임연구원
        - KAIST 산업디자인학과 학사/석사

        • Min-Kyung-Lee.png

          Min Kyung Lee

          School of Information,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발표일시 : 2025년 2월 11일 (화) 17:10 - 18:10

          Abstract:

          As algorithms increasingly take managerial and governance roles, it is ever more important to build them to be perceived as fair and adopted by people. With this goal, we propose a procedural justice framework in algorithmic decision-making drawing from procedural justice theory, which lays out elements that promote a sense of fairness among users. As a case study, we built an interface that leveraged two key elements of the framework---transparency and outcome control---and evaluated it in the context of goods division. Our interface explained the algorithm's allocative fairness properties (standards clarity) and outcomes through an input-output matrix (outcome explanation), then allowed people to interactively adjust the algorithmic allocations as a group (outcome control). The findings from our within-subjects laboratory study suggest that standards clarity alone did not increase perceived fairness; outcome explanation had mixed effects, increasing or decreasing perceived fairness and reducing algorithmic accountability; and outcome control universally improved perceived fairness by allowing people to realize the inherent limitations of decisions and redistribute the goods to better fit their contexts, and by bringing human elements into final decision-making.

          Bio :

          Min Kyung Lee is an assistant professor in the School of Information at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She has been a director of a Human-AI Interaction Lab since 2016. She is affiliated with UT Austin Machine Learning Lab—one of the first NSF funded national AI research institutes, Good Systems—a UT Austin 8-year Grand Challenge to design responsible AI technologies, and Texas Robotics. Previously, she was a research scientist in the Machine Learning Department at Carnegie Mellon University. Dr. Lee has conducted some of the first studies that empirically examine the social implications of algorithms’ emerging roles in management and governance in society. She has extensive expertise in developing theories, methods and tools for human-centered AI and deploying them in practice through collaboration with real-world stakeholders and organizations. She developed a participatory framework that empowers community members to design matching algorithms that govern their own communities. Her current research is inspired by and complements her previous work on social robots for long-term interaction, seamless human-robot handovers, and telepresence robots. Dr. Lee is a Siebel Scholar and has received the Allen Newell Award for Research Excellence, research grants from NSF and Uptake, and eight best paper awards and honorable mentions and two demo/video awards in venues such as CHI, CSCW, DIS, HRI and MobiSys. She is an Associate Editor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and served as a Senior Associate Editor of ACM Transactions on Human-Robot Interaction from 2017-2023. Her work has been featured in media outlets such as the New York Times, New Scientist, Washington Post, MIT Technology Review and CBS. She received a PhD and a MS in Human-Computer Interaction and an MDes in Interaction Design from Carnegie Mellon University and a BS from KAIST. Dr. Lee is an aspiring explorer. She hiked in 25 national parks in 5 countries, and skied in the U.S., Canada, Italy, France, Switzerland, Japan, and Korea.



          • 신한은행

            전성익 / 디지털솔루션본부 / 본부장

            발표자 : 진영규 / 고객경험혁신센터 / 팀장

            ■ 주제:통합 경험 디자인 사례

            ■ 내용:금융과 비금융을 아우르는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하여 사용자에게 일관된 경험을 제공한 사례를 소개



            우리은행

            김준한 / 고객경험디자인센터 / 센터장

            발표자 : 김영인 / 고객경험디자인센터 / 과장

            ■ 주제:이미지생성형 AI를 활용한 디자인 - W-Sketch

            ■ 내용:이미지생성형 AI를 활용하여 디자인 크리에이티브와 3D 디자인을 효율화한 우리은행 사례와 과정

            하나은행

            이원재 / UI UX / 리더

            발표자 : 이원재 / UI UX / 리더

            ■ 주제:하나은행 Lean UX 및 Design System 소개

            ■ 내용:하나은행의 UX 업무 방식 및 Design System 소개, 이를 기반으로 한 UX 품질 제고 사례



            KB국민은행

            이현정 / 고객경험센터 본부장

            발표자 : 방세홍 과장

            ■ 주제:은행에서 경험한 UX리서치 실무 이야기

            ■ 내용:KB국민은행 고객경험디자인센터의 UX 리서치 활동과 실무수 행 경험으로 본 시사점

            -

      Sponsors